티스토리 블로그 초대장 13장 배포합니다. 이번 달에도 초대장 10장을 또 받아서 저번달에 배포했던 7장을 제외하고 총 13장 남았습니다. 이메일과 블로그 이용목적 을 댓글로 등록해주시면 모두 드립니다. 더보기 중농학파 실학자들의 주장 (정약용,이익,유형원) 중농학파가 생기게된 배경 한번눌러주세요 모내기법(이앙법)으로 소득을 올리는 농민들 광산에서 임금 노동자가 되는 몰락한 농민들 조선후기 농업기술의 발달 (모내기법(이앙법)과 거름을 주는(시비법), 농기구 개량, 인삼이나 담배 채소 재배(상품작물)) 과 같은 새로운 농법이 널리 보급되면서 적은 노동력으로 더 넓은 땅을 광작 할 수 있어서 농민들이 부농으로 성장하거나 소작인 중에서도 소작권을 개간을 통해 확보하거나 대지주로 성장하는 등 여러 농민들에 있어서는 성장하였으나 토지를 잃고 몰락하는 농민들도 늘어 빈부격차가 커졌다. 이로서 농민들의 생활이 불안해지고 조세와 균역제도 운영에도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를 위해 토지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는 농업 중심의 개혁론이 나타났다. 농업중심의 선구자 유형원 유형원 반.. 더보기 조선시대 천주교의 박해와 탄압, 그 이유 천주교는 17세기 중국을 다녀온 사신들에 의해 서양학문의 하나로 소개되어 서학이라고 불린다.천주교가 신앙으로 퍼지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후반. 왜 그들은 천주교를 믿고 싶었나. 김대건 신부 예배하는 신자들의 모습이승훈이 중국에 가서 서양인 신부에게서 조선 최초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성당을 열고 미사를 주관한 이후, 천주교는 점점 멀리 퍼져나갔다. 그 당시에는 사회 모순을 해결하고자 새로운 사상의 도입을 원하는 사람도 많았고 그보다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 등 의 왕실의 외척 세력들이 비변사와 주요관직을 독점하는 세도 정치 속에서 인간을 모두 평등하다는 천주교의 논리가 당시 신자들을 마음을 고정시켰고 당시 정권에서 밀린 남인세력의 마음을 끌어 들였다. 천주교는 왜그렇게 박해 받았는가 _18세기 말 천주교 ..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24 다음